지난 7월 30일 오후 5시(미국 현지시각), 미국이 예고한 25% 상호관세 부과일인 8월 1일을 하루 앞두고 한국과 미국은 관세 협상을 전격 타결했습니다. 미국은 상호관세를 25%에서 15%를 낮추기로 하고, 한국은 이번 협상에서 에너지 구매, 조선산업 협력 등을 포함해 총 3,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를 약속했습니다. 이 중 2,000억 달러는 반도체, 원자력, 배터리, 바이오, 핵심광물 등 전략 산업에, 나머지 1,500억 달러는 조선소 설립, 인력 양성, 공급망 재편에 투입할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향후 4년간 1,0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LNG(액화천연가스) 등 에너지 구매도 추진됩니다.
이번 관세 조정의 핵심은 상호관세 세율 인하입니다. 한국산 제품에 적용되던 기존 25% 관세는 15%로 인하됩니다. 다만, 한국은 FTA(한미 자유무역협정) 체결국임에도 불구하고 EU·일본과 동일한 수준인 15% 관세율로 합의되면서 일부 품목에 대한 무관세 혜택이 축소됐습니다.자동차 산업의 경우 관세율이 기존 25%에서 15%로 낮아졌지만, FTA에 따른 무관세 혜택이 폐지되면서 일부 품목에서는 가격 경쟁력 저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됩니다. 반면 철강·알루미늄·구리 등 품목은 이번 협상 대상에서 제외되어, 기존의 고율 관세(약 50%)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