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핀테크 시장은 지정학적, 거시경제적 요인으로 투자 둔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으나, 2024년 들어 투자 규모 및 건수의 감소폭이 완화되며 시장 안정화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 글로벌 핀테크 산업의 투자 규모는 전년 대비 12% 감소하며 1,178억 달러에 그쳤으나, 글로벌 AI 투자 규모는 전년 대비 38% 증가한 1,994억 달러를 기록하며 시장 조정 국면 속에서도 뛰어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지역별로 살펴보았을 때도, 한국이 속한 ASPAC 지역은 글로벌 투자 비중의 소폭 증가 및 투자 규모 감소세 완화를 보이며 시장 회복의 변곡점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핀테크 산업 내 투자 섹터별 현황은 AI, 디지털 자산, 인슈어테크 등 일부 섹터에서 2025년 연말까지 전년 대비 투자 규모 회복이 예상되며, 레그테크 등 기타 섹터에서도 AI 기반 컴플라이언스 및 업무 자동화 솔루션이 주목받아 AI 역량 확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와 같은 국면에서 국내 핀테크 기업이 주목할 키워드는 AI, 융복합, B2B 기반 사업 모델 다각화입니다. 2025년 상반기 글로벌 Top 100 핀테크 투자를 유치한 기업을 살펴보았을 때, 이들 중 65%가 AI를 활용 중이고, 37%가 이커머스, 모빌리티, 물류 등 타 산업의 데이터를 접목한 융복합 사업 모델을 운영 중이었으며, 91개 기업이 B2B 거래를 운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국내 핀테크 기업은 AI 역량을 내재화하고, 타 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 그리고 B2B 중심의 사업 모델 다각화를 통해 전략적 방향을 재정립하여, 향후 투자 회복 국면에서의 시장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지속 가능한 성장의 관건이 될 것으로 해석됩니다.